전남광역자활센터-천연자원연구센터-산야초마을 (차즈기 계약재배)업무협약 > 광역스토리

본문 바로가기

광역스토리

전남광역자활센터-천연자원연구센터-산야초마을 (차즈기 계약재배)업무협약

페이지 정보

작성자전남광역자활센터 댓글 0건 조회 1,654회 작성일 21-03-04 16:06

본문

bf649d5510dccc7020d09d230afc2047_1614841448_44.JPG

 

 전남광역자활센터는 지난 34일 전남천연자원연구센터(센터장 이학성)와 ()산야초마을(대표 김승연)과 함께 전남천연자원연구센터에서 건강기능식품 원료 차즈기의 고부가가치 및 전남지역 자활사업 소득 증대를 위해 차즈기 계약재배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차즈기는 꿀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깻잎과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연구개발 주관기관인 전남천연자원연구센터(센터장 이학성)201812월에 건강기능식품 개발 전문 기업인 코스맥스바이오와 차즈기 눈피로 건강기능식품 개발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20199월에 코스맥스바이와 공동으로 차즈기를 활용한 눈피로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인정형 원료로 식약처로부터 인정을 받았으며 20211월에 루테올린 레시피 2.0 제품명으로 출시되었다

    

전남광역자활센터(센터장 김삼용)는 전남 지역자활센터의 차즈기 재배에 참여하여  안정적인 소득 창출과 저소득층에 근로 기회를 제공해 자립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 있는 일자리 창출로 전남지역 자활사업 소득 증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전남천연자원연구센터, 전남광역자활센터, ()산야초마을에서는 계약재배를 통해서 차즈기 원료의 안정적 판로와 전남지역 자활사업의  소득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3개 기관은 상호 원활한 협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학성 전남천연자원연구센터장은 도내 비교우위 특산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산업화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서 향후 도내 특산자원 산업화의 표준 모델이 되도록 남은 과정을 성공적으로 완성하여 전남 지역경제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차즈기는 전남 도내 자생식물로 자리매김하여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나고야의정서에서 자유로운 생물자원으로써, 이번 눈피로 건강기능식품 제품 판매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전라남도 도민에게 새로운 소득 창출이 기대된다.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Add. 전남 무안군 삼향읍 후광대로 242 전남개발빌딩 6층 / Tel. 061-284-4680 / Fax. 061-284-4690 /
e-mail. jnpsc01@kdissw.or.kr
Copyright@ 2014 Jeonnam Province Self-sufficiency Center All right reserved.